[세미콜론 여부]
- 붙이던 안붙이던 상관 없다
[var / val 차이]
- var (= variable): mutable (= 읽기/쓰기가 가능한 그냥 기본 변수)
- val (= valuable): immutable (= 읽기만 가능한 말하자면 final처리한 변수)
[변수 생성 규칙]
접근제어자 var (혹은 val) 변수명: 자료형 = 초기화
ex) val name: String = "HZie";
ex) private var height: Int = 160;
이 때 자료형을 생략하면 코틀린이 알아서 자료형을 추정한다.
기본적으로 변수는 non-null로 생성된다. nullable로 변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자료형 뒤에 ?를 붙이면 된다.
ex) var num: Int?=10;
[Null 처리]
- ?. : 왼쪽항이 null이 아닐 때만 오른쪽 함수가 수행되고 null이면 null을 반환함
ex) notes.value?.remove(value);
- ?: : 엘비스 연산자. 왼쪽항이 non-null이면 왼쪽항의 값이 리턴되고 null이라면 오른쪽항의 값을 리턴한다.
- !! : null값이 절대 들어오면 안되는 경우
[상속하기]
- 코틀린에서 상속을 하기 위해서는 그냥 콜론(:)을 붙이면 된다.
- 상속받거나 구현한 함수의 앞에는 무조건 override 키워드를 붙여야 한다.
'Study Log > Software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삽질기록] RDS 연결 안됨 (0) | 2022.10.11 |
---|---|
바뀐 저장소 설정 (0) | 2022.10.10 |
[토이프로젝트] 쇼핑리스트: 자바스크립트 작성 (0) | 2021.12.01 |
[토이프로젝트] 쇼핑리스트: CSS 작성 (0) | 2021.12.01 |
[토이프로젝트] 쇼핑리스트 사이트: 디자인 및 html 작성 (0) | 2021.12.01 |
댓글